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인천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퇴근 한다면 K-패스 카드 발급

by 우슬희 2024. 5. 3.

 

인천이나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퇴근하고 있다면 K-패스 카드 발급받으세요

 

 

 

 

 

K-패스 카드 발급
K-패스 카드 발급

 

 

올해 초, 서울시에서 고정 금액을 내면 무제한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를 출시했습니다.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에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경기도, 인천 같은 지자체에서도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. 경기도는 'The 경기패스', 인천은 '인천 I-패스'라고 이름 지어졌습니다. 하지만 경기도나 인천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많다 보니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'K-패스'가 생기게 되었습니다. 인천이나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퇴근한다면 K-패스 카드를 발급받으셔야 합니다. 지금부터 K-패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K-패스란?

K-패스는 인구수가 적은 일부 지자체를 제외한 전국 모든 지역에서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. 버스, 지하철, 신분당선, 광역버스, GTX 대중교통은 적립됩니다. 하지만 시외(고속) 버스, KTX, SRT 등 발권받아서 이용해야 하는 대중교통을 포함되지 않습니다.

 

 

얼마나 환급해 주나요?

월 15회 이상 이용하면 최대 60회까지 사용한 교통비의 일정비율(일반인 20%, 청년층 30%, 저소득층 53%)을 환급해 줍니다. 청년층은 청년기본법에 따라 만 19세부터 34세까지입니다. 대중 교통비로 한 달에 7만 원 정도 썼다면 일반인은 월 1만 4천 원, 청년은 2만 1천 원, 저소득층은 3만 1천 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 1년으로 치면 17만 원에서 44만 원 정도를 돌려받습니다.

 

 

단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이용해야 하며 최대 60회분에 해당하는 대중교통비가 적립되어 다음 달에 환급됩니다. 하지만 가입 첫 달은 월 15회 미만 사용하더라도 환급되고, 이후부터는 월 15회 이상 이용해야 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K-패스 발급방법

먼저 11개 카드사 중 원하는 교통카드를 골라 발급받은 후, 카드를 받으면 K-패스 공식 앱 또는 누리집에서 회원으로 가입하면 됩니다. 카드 번호 확인 후 약관동의와 본인인증, 주민등록번호를 통한 주소지 및 저소득층 확인여부가 확인되면 회원 가입이 완료됩니다.

 

https://korea-pass.kr/

 

K-패스

K-패스 홈페이지

korea-pass.kr

 

 

 

원래 알뜰 교통카드 이용하시던 분이라면 추가로 카드 발급이나 회원가입 없이도 알뜰교통카드 앱 또는 누리집에서 바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환급금액은 실시간으로 확인되지 않으며 대중교통 이용후 최대 14일 이후에 앱또는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